위키백과

1940년

연도

해
1937년 1938년 1939년 - 1940년 - 1941년 1942년 1943년
연대
1920년대 1930년대 - 1940년대 - 1950년대 1960년대
세기
18세기 19세기 - 20세기 - 21세기 22세기
서기 1940년의 다른 기년법
간지 기묘년~경진년
단기 4273년
그레고리력 1940년
MCMXL
불기 2484년
이슬람력 1359~1360
일본 쇼와(昭和) 15년
황기 2600년
민국 29년
주체 29년
히브리력 5700~5701
아시리아력 6690년
에티오피아력 1934~1935
포덕(천도교) 81년

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.

목차

  • 1 연호
  • 2 기년
  • 3 사건
  • 4 문화
  • 5 탄생
  • 6 사망
  • 7 달력
    • 7.1 음양력 대조 일람

연호편집

  • 대한민국 임시정부(大韓民國 臨時政府) 대한민국(大韓民國) 22년
  • 중화민국(中華民國) 민국(民國) 29년
  • 만주국(滿州國) 강덕(康德) 7년
  • 일본(日本) 쇼와(昭和) 15년
  • 응우옌 왕조(阮朝) 바오다이(保大) 15년

기년편집

  • 만주국(滿洲國) 강덕제(康德帝) 9년
  • 응우옌 왕조(阮朝) 보대제(保大帝) 15년

사건편집

  • 1월 4일 - 조선총독부, 조선영화령 공포로 영화의 제작 배급 상영을 통제
  • 1월 9일 - 조선총독부, 신년도 노무동원계획 결정
  • 1월 22
  • 일 - 일제, 육군통제령 및 해군통제령 공포
  • 2월 11일
    • 조선에서 창씨개명 실시
    • 조선영화인협회 창립
  • 2월 14일 - 일제가 묘지규칙을 개정, 신고제를 허가제로 변경
  • 2월 29일
    • 해티 맥다니엘,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머미 역으로 흑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
    • 일제가 석탄 등 18개 품목을 수출통제품으로 결정
  • 3월 5일 - 친일단체인 국민협회 대표, 조선의 참정권 청원을 위해 일본 도쿄로 출발되었다.
  • 3월 6일 - 겨울전쟁 정전.
  • 3월 21일-프랑스 에두아르 달라디에 내각 총사퇴
  • 3월 31일 -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, <조선사> 전 37권 완간
  • 4월 - 만주 지안현에서 고구려 벽화 다수 발견
  • 4월 9일 - 제2차 세계 대전: 나치 독일, 덴마크·노르웨이 침공. (베저 작전)
  • 4월 15일 - 평안북도 선천의 유림, 전 회원 창씨 결정
  • 4월 18일 - 경조전보 제도 폐지
  • 5월 - 인천 강화 전등사에서 묘법연화경판 발견
  • 5월 9일 - 한국독립당, 한국국민당, 조선혁명당, 하와이 애국단 등이 한국독립당 조직 (위원장 김구)
  • 5월 10일
    • 제2차 세계 대전: 영국 체임벌린 내각 총사퇴.
    • 제2차 세계 대전: 독일군, 베네룩스 삼국 공격 개시.
  • 5월 20일 - 유대인 대학살: 나치가 아우슈비츠 수용소를 만들다.
  • 5월 21일
    • 제2차 세계 대전: 독일군, 볼로뉴를 점령하고 영국군과 프랑스군을 분리시킴
    • 제2차 세계 대전: 구데리안군은 솜므강을 도하하여 교두보 확보
  • 6월 - 일본 나고야에서 민족부흥회 사건으로 이수영 등 23명 체포
  • 6월 2일 - 사탕배급증제 실시
  • 6월 7일 - 조선어학회,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발표
  • 6월 10일 - 제2차 세계 대전: 노르웨이가 독일에 항복하다. (베저 작전)
  • 6월 11일 - 평양박물관, 강서군 고려요지, 낙랑고분 발굴 착수
  • 6월 14일 - 제2차 세계 대전: 독일군이 파리에 진주하다.
  • 6월 23일 - 제2차 세계 대전: 나치 독일 아돌프 히틀러가 점령한 프랑스의 파리 시를 방문하다.
  • 7월 - 경상북도 안동에서 <훈민정음> 원본 발견
  • 7월 1일 - 조선총독부, 학생의 만주, 중국 여행 금지
  • 7월 10일 - 프랑스에 비시 정권 수립.
  • 7월 14일 - 경기도 학생근로대 조직
  • 8월 11일 -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강제 폐간
  • 8월 12일 - 제2차 세계 대전: 독일, 영국 본토 공습 개시
  • 8월 17일 -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, 전시생활체제 강요
  • 8월 18일 - 미국과 캐나다, 공동방위조약 체결
  • 8월 20일 - 러시아 혁명가 레온 트로츠키, 망명지 멕시코에서 자객에게 피살
  • 8월 30일 - 제2차 빈 중재: 루마니아의 영토인 트란실바니아의 절반이 헝가리의 영토로 편입된다.
  • 9월 - 대한민국 임시 정부, 충칭으로 거점 이전
  • 9월 7일 - 제2차 세계 대전: 나치 독일이 57일간의 런던 야간 폭격을 시작(영국 본토 항공전).
  • 9월 9일 - 일제가 학생 복장을 국방색으로 통일
  • 9월 13일 - 제2차 세계 대전: 베니토 무솔리니 치하 이탈리아, 이집트 침공(북아프리카 전역)
  • 9월 17일 - 중화민국 충칭에 있었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한국 광복군 창설.
  • 9월 23일 - 제2차 세계 대전: 일본군, 인도차이나 반도 침공 개시
  • 9월 27일 - 제2차 세계 대전: 독일·이탈리아·일본의 세 추축국이 독일 베를린에서 삼국 동맹 조약을 체결하다.
  • 10월 9일 - 대한민국 임시 정부, 국무령 제도를 국무위원제로 개정
  • 10월 15일
    • 인도 민족지도자 마하트마 간디, 반영 불복종 운동 개시
    • 아돌프 히틀러를 소재로 한 찰리 채플린 감독·주연의 영화 위대한 독재자가 개봉되다.
  • 10월 16일
    • 제2차 세계 대전: 유대인을 수용하기 위한 바르샤바 게토가 세워지다.
    • 벤저민 O. 데이비스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서는 최초의 장성이 되었다.
    • 국민총력연맹이 조직되어 황국신민화운동 강제 시행
  • 10월 25일 - 중국 정부, 한국 광복군의 중국 전선 참전을 승인
  • 11월 5일 - 1940년 미국 대통령 선거: 민주당 후보 프랭클린 D. 루즈벨트가 공화당의 웬델 윌키(Wendell Willkie)를 꺾고 사상 처음 세 번째 임기를 지내는 미국 대통령이 되다.
  • 11월 29일 -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, 충칭에서 시안으로 본거점을 이전, 군사특파단을 폐지하고 건군공작 착수와 유격전 수행
  • 12월 11일 - 국민총력경성부연맹, 연하, 연회, 선물, 여행 폐지 결정
  • 12월 22일 - 대한민국 임시 정부, 독립운동 방침에 관한 선포문 발표
  • 12월 25일 - 경성 부민관에서 친일단체 황도협회 결성

문화편집

  • 1월 23일 - 중앙선 죽령터널이 개통되었다.
  • 5월 15일
    • 최초의 맥도날드 식당이 생겼다.
    • 나일론 스타킹이 처음으로 미국에서 판매되었다.

탄생편집

다음 분류도 참고하십시오: 분류:1940년 출생
  • 1월 1일 - 대한민국의 방송인 황인용.
  • 1월 4일
    • 영국의 물리학자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.
    • 프랑스의 소설가 가오싱젠.
  • 1월 26일 - 대한민국 정치인 김우식.
  • 1월 29일
    • 미국의 배우 캐서린 로스.
    • 미국의 희극배우 하워드 헤스먼. (~2022년)
  • 2월 4일 - 캐나다의 영화감독 조지 A. 로메로.
  • 2월 6일 - 대한민국의 성우 황일청.
  • 2월 7일 - 대한민국의 대금, 아쟁 명인 서용석. (~2013년)
  • 2월 9일 -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작가 존 맥스웰 쿠체.
  • 2월 24일 - 스코틀랜드의 전 축구 선수 데니스 로.
  • 2월 25일 - 대한민국의 탤런트, 영화배우 여운계. (~2009년)
  • 3월 1일 - 대한민국의 시인 이근배.
  • 3월 10일 - 미국의 영화배우 척 노리스.
  • 3월 16일
    • 독일의 정치학자 클라우스 오페.
    • 대한민국의 배우 김무생. (~2005년)
  • 3월 17일 - 대한민국의 방송인 겸 정치인 박성범.
  • 3월 26일
    • 미국의 정치인 낸시 펠로시.
    • 미국의 영화 제임스 칸. (~2022년)
  • 3월 27일 - 대한민국의 성우 김순원.
  • 4월 1일 - 케냐의 환경·정치운동가 왕가리 마타이. (~2011년)
  • 4월 5일 -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세환. (~2021년)
  • 4월 8일
    • 대한민국의 야구인 김응용.
    • 대한민국의 기업인 임성기. (~2020년)
  • 4월 13일 - 프랑스의 소설가, 200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
  • 4월 16일 -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2세, 덴마크 군주.
  • 4월 25일 - 미국의 배우 알 파치노.
  • 5월 6일 - 대한민국의 배우 김세윤.
  • 5월 20일 - 중화민국 국적의 일본 프로 야구 선수, 야구 감독 오 사다하루.
  • 6월 1일 - 물리학자 킵 손
  • 6월 5일 - 대한민국의 기업가 겸 대학 교수 차수웅.
  • 6월 7일
    • 대한민국의 배우 박근형.
    • 영국의 가수, 음악가 톰 존스.
  • 6월 15일
    •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김도언.
    • 대한민국의 배우 최불암.
  • 6월 17일
    • 대한민국의 가수 차도균.
    • 미국의 경제학자 조지 애컬로프.
  • 6월 19일 - 재일 한국인 출신의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장훈.
  • 6월 21일 - 대한민국의 요리연구가 심영순.
  • 6월 22일 - 이란의 영화감독 아바스 키아로스타미.
  • 6월 27일 - 미국의 수학자 대니얼 퀼런. (~2011년)
  • 6월 30일 - 스페인의 영화감독 빅토르 에리세.
  • 7월 3일 - 대한민국의 방송연출가 유길촌. (~2022년)
  • 7월 6일 - 카자흐스탄의 정치인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.
  • 7월 7일
    • 영국의 드럼 연주자 링고 스타(비틀즈).
    • 대한민국의 정치인 정창화. (~2022년)
  • 7월 11일 -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종인
  • 7월 13일 - 영국의 배우 패트릭 스튜어트.
  • 7월 15일 -대한민국의 배우 김지미.
  • 7월 18일 - 미국의 야구 선수 조 토리.
  • 8월 3일 - 미국의 배우 마틴 신.
  • 8월 16일 - 대한민국의 성우 이광세.
  • 8월 17일 - 대한민국의 배우 권성덕.
  • 8월 25일 - 대한민국의 변호사 이재후.
  • 9월 4일 - 대한민국의 정치인 엄창섭.
  • 9월 5일 - 미국의 배우 라켈 웰치.
  • 9월 7일 -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다리오 아르젠토.
  • 9월 10일 - 대한민국의 기업인 유상열. (~2022년)
  • 9월 11일 - 미국의 영화감독 브라이언 드 팔마.
  • 9월 15일 - 대한민국의 가수 이금희 (~2007년)
  • 9월 20일 - 일본의 제92대 총리 아소 다로.
  • 9월 22일 - 덴마크, 프랑스의 배우 아나 카리나. (~2019년)
  • 10월 4일 - 대한민국의 교육인 김광웅. (~2019년)
  • 10월 9일 - 영국의 대중음악가 (비틀즈의 멤버) 존 레논. (~1980년)
  • 10월 14일 - 영국의 가수 클리프 리처드.
  • 10월 18일 -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권이종. (~2022년)
  • 10월 22일 -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 윤용남. (~2021년)
  • 10월 23일
    • 대한민국의 변호사 김창국. (~ 2016년)
    •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, 현 축구 행정가 펠레.
  • 10월 24일 - 대한민국의 희극인 겸 제 14대 국회의원 이주일. (~2002년)
  • 11월 9일 - 대한제국의 황족 출신 인물 이종. (~1966년)
  • 11월 15일 - 미국의 배우 샘 워터스턴.
  • 11월 22일
    • 영국의 영화감독 테리 길리엄.
    • 폴란드의 영화감독 안제이 주와프스키. (~2016년)
  • 11월 26일 - 이탈리아 수학자 엔리코 봄비에리.
  • 11월 27일 - 홍콩의 무술 배우 이소룡. (~1973년)
  • 11월 29일 -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정갑.
  • 12월 5일 - 대한민국의 정치인 라종일
  • 12월 25일 -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양승춘. (~2017년)
  • 12월 26일 - 미국의 경제학자 에드워드 프레스콧.
  • 12월 27일 -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중식.
  • 12월 31일 - 미국의 영화배우 팀 콘시딘. (~2022년)
  • 미상 - 대한민국의 법조인 안상돈. (~2022년)

사망편집

다음 분류도 참고하십시오: 분류:1940년 사망
  • 6월 22일 - 독일의 기상학자 블라디미르 쾨펜. (1846년~)
  • 6월 29일 - 스위스의 화가 파울 클레. (1879년~)
  • 7월 15일 -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사람 로버트 워들로. (1918년~)
  • 8월 20일 - 러시아의 혁명가 레프 트로츠키, 도끼 살인. (1879년~)
  • 9월 27일 - 독일의 문학 비평가 발터 베냐민. (1892년~)
  • 11월 24일 - 일본의 겐로 사이온지 긴모치. (1849년~)
  • 12월 21일 - 미국 소설가 스콧 피츠제럴드. (1896년~)

달력편집

1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 31
2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
3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4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
5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6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7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 31
8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9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 6 7
8 9 10 11 12 13 14
15 16 17 18 19 20 21
22 23 24 25 26 27 28
29 30
10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11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12월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 6 7
8 9 10 11 12 13 14
15 16 17 18 19 20 21
22 23 24 25 26 27 28
29 30 31

음양력 대조 일람편집

음력월 월건 대소 음력 1일의
양력 월일
음력 1일
간지
1월 무인 대 2월 8일 신사
2월 기묘 대 3월 9일 신해
3월 경진 소 4월 8일 신사
4월 신사 대 5월 7일 경술
5월 임오 소 6월 6일 경진
6월 계미 대 7월 5일 기유
7월 갑신 소 8월 4일 기묘
8월 을유 소 9월 2일 무신
9월 병술 대 10월 1일 정축
10월 정해 소 10월 31일 정미
11월 무자 대 11월 29일 병자
12월 기축 소 12월 29일 병오
원본 주소 "https://ko.wikidark.org/w/index.php?title=1940년&oldid=33129389"
Wikipedia dark mode